본문 바로가기
Analysis/GA

유입 경로 추적을 위한 UTM

by h_sseul 2023. 7. 26.

본 게시물은 아래의 글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야, 너도 GA 할 수 있어 ⑤: UTM은 무엇보다 약속이 중요해요! | 요즘IT

GA에서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건 UTM(Urchin Tracking Module)이라는 트래킹 코드를 활용하는데요. UTM 개념만 이해한다면, 획득 보고서를 통한 유입 기여도에 따른 광고 캠페인 피드백은 식은 죽 먹기

yozm.wishket.com


UTM(Urchin Tracking Module)

GA에서 유입 경로를 추적하는 건 UTM이라는 트래킹 코드 활용

진행한 마케팅 액션이 어떤 것인지 알기 위한 몇 가지 식별자를 붙여놓는 것

 

🔍 PC, 모바일 모두 온라인 공간으로 들어올 때 고객은 'URL 주소'를 통해 유입된다.

UTM은 URL 링크 주소 뒤에 일종의 규칙에 따라 붙이는 형태

 
https://yozm.wishket.com/magazine/
https://yozm.wishket.com/magazine/?utm_source=brunch&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ga5

첫 번째 URL만으로도 충분히 접속 가능하다.

두 번째 URL에서 ? 뒤에 붙은 부분이 바로 UTM 트래킹 코드로, 실제 접속하는 데는 굳이 없어도 되는 영역인데, 오직 유입 경로 추적을 위해 붙인다.

 

UTM 코드는 최대 6개의 요소를 넣을 수 있는데, 필수적으로 3가지 영역만큼은 꼭 채워야 한다.

 

1. 소스(Source) 'utm_source=brunch'

유입이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naver, kakao, google, facebook 등)

즉, 유입이 발생한 곳이 어딘지, 우리 웹페이지를 방문하기 전에 어디를 통해 왔는지 알려준다.

 

2. 매체(Medium) 'utm_medium=referral'

유입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디스플레이 광고, 검색 광고 등)

naver를 통해 유입되었다 하더라도, 검색을 통해 유입될 수도 혹은 광고를 통해 들어올 수 있는 것

 

3. 캠페인(Campaign) 'utm_campaign=ga5'

링크별로 고유한 구별 값을 넣으라고 존재하는 요소

하나의 액션에 하나의 URL을 매칭하여 써야 정확하게 액션의 효율을 피드백 할 수 있다.

 


매체 유형

- Direct(직접) : (direct/none)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북마크 등을 통해 유입했을 때

- Organic Search(자연 검색) : 구글, 네이버 등 검색 엔진(유료 제외)을 통해 유입했을 때

- Social(소셜)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유입했을 때

- Affiliates(제휴사) : 제휴사를 통해 유입했을 때

- Referral(추천) : GA에 정의되지 않은 사이트에서 링크를 타고 유입했을 때

- Paid Search(유료 검색) : 구글, 네이버 등 검색 엔진(유료)을 통해 유입했을 때

- Email : 이메일을 통해 유입했을 때

- Other(기타 광고) : (not set)과 같이 매체가 정의되지 않은 곳에서 유입될 때

- Display(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배너 광고 등을 클릭해서 유입했을 때

 

오가닉과 레퍼럴은 돈을 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유입됐기 때문에 가장 좋은 매체들

페이드 매체 값에는 과금 방식인 cpc, cpm 혹은 노출 형태인 banner 등이 표기된다.

오가닉과 레퍼럴은 따로 세팅하지 않더라도 GA가 알아서 분류하지만, 페이드는 반드시 UTM 코드를 생성해 노출해야 한다.

만약 광고를 했는데 UTM 세팅을 별도로 하지 않고 진행한다면, 오가닉 유입과 섞여 제대로된 성과 분석 불가능

 

direct/none 즉, 매체값이 없는 유입

엄밀하게는 GA가 모르는 유입

다이렉트가 많이 잡히는 경우는 UTM 세팅을 제대로 안 해 마구잡이로 노출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이렉트가 지나치게 높지 않은 수준을 유지하도록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UTM 코드가 유실되어 다이렉트 비중이 너무 높아지거나, 들어가도라도 혼동되지 않도록 UTM 규약을 세우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대소문자 통일. GA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별도로 취급하기 때문에 통일시켜 관리하기 (소스는 무조건 대문자, 매체는 무조건 소문자 이렇게)

- 스트레드 시트를 활용해 UTM 변환 도구 만들기

- 규약 만들기. 누가 보더라도 어떤 캠페인인지 알 수 있도록 문서화하여 관리하기

 

 

'Analysis > 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의 등장 배경  (0) 2023.07.27